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6

임산부 감기 임신 중의 감기예방 우선 환절기에 임산부를 둔 가족들이 감기에 걸린다면, 임산부의 감기 예방이 쉽지 않다. 특히 남편이나 첫째 아이 등 밀접하게 접촉하는 사람들이 독감에 걸리거나 기침을 하게 되면 비말 감염으로 인해 감기에 걸리기가 쉬워진다. 따라서 남편과 가족의 경우에는 10월~2월 경에는 계절성 독감을 받아서 예방 접종을 하기를 권하며 아래의 예방적인 방법들을 숙지하셔서 함께 하시기를 권한다. 독감 예방 접종이나 아래의 방법들이 감기나 독감을 완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증상을 극심하게 겪는 것에 대한 일차적인 대비책으로 생각해 두시면 좋을 것 같다. 1.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사람이 많은 장소를 피하고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평소에 손을 코나 눈, 입 등 얼굴 주변에 가.. 2024. 3. 6.
a hatful of dreams 가사 7년 동안 바다 위에서 생활한 후 After seven years of life upon the ocean 이제 일곱 바다에 작별을 고할 시간입니다 It is time to bid the seven seas farewell 그리고 내가 7년간의 희망을 걸었던 도시 And the city I've pinned seven years of hopes on 지평선 바로 너머에 있어 항구의 종소리가 들려요 Lies just over the horizon, I can hear the harbour bell 땅아, 어이 Land, ahoy 너덜너덜한 외투와 낡은 여행가방을 갖고 있어요 Got a tattered overcoat and battered suitcase 내 발에는 물이 새는 부츠 한 켤레가 있어 Got .. 2024. 3. 6.
도시락·밀키트 할인지원 서울시가 저출생 대책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식사 준비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가정행복 도시락·밀키트·먹거리 할인지원 사업’을 올해 확대 추진한다. 지난 2022년 10월 ‘퇴근길 가정행복 도시락・밀키트 할인지원’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이 사업은 18세 이하 자녀 양육가정이 도시락, 밀키트, 신선식품 등을 20% 내외로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이다. 사업 개시 이틀 만에 조기 마감되는 등 엄마아빠들의 높은 호응에 힘입어 지난 1년 4개월간 약 24만명이 할인 혜택을 받았다. ◎ 아이 있는 집을 위한 도시락·밀키트 할인, 이렇게 받으세요 ◎ 밀키트로 퇴근길 저녁 고민 끝! 아이 입맛에도 딱 맞아요 시는 올해 3월부터 참.. 2024. 3. 6.
아기랑 외출할 때 '엄빠택시' 서울시가 올해부터 ‘서울엄마아빠택시’를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해 운영한다 아기와의 외출을 더욱 편리하게 도와주며 양육자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서울엄마아빠택시’가 올해부터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시행된다. ‘서울엄마아빠택시’는 대형 승합차에 KC 인증된 카시트는 물론, 살균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와 손소독제, 비말 차단 스크린까지 설치된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아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다. 24개월 이하 영아 한 명당 10만 원의 택시 이용권을 지원해 예방접종이나 진료를 위해 병·의원을 찾거나 약국에 갈 때 등 외출을 돕고, 양육자의 교통비 부담도 덜어 주는 가성비 높은 정책이다. 이는 오세훈표 저출생대책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서울에 사는 24개월 이하 영아를 키우는 가족.. 2024. 3. 5.
전세권 설정 등기 방법 및 효력 최근 집주인으로부터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깡통전세, 전세사기로부터 내 보증금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크게 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는 '전세보증보험', 이사 당일 까먹지 말아야할 '전입신고&확정일자 받기', 그리고 전세 권리를 증명하는 '전세권 설정'이 있다. 전세권 설정이란 전세권 설정이란 등기사항전부증명서에 '내가 여기 전세 세입자예요'를 기록하는 것이다. 내 보증금이 이 집에 걸려있으니 경매 등에서 나를 꼭 챙겨줘야 한다는 도장같은 것이다. 중요한 건, 전세권 설정 등기는 집주인과 세입자의 공동신청이 있어야 하기에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하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불안하다 싶으면, 아예 집 구할때부터 부동산에 '전세권 설정이 가능한 집을 알아봐주세요'라고 알리는 게.. 2024. 3. 5.
IntelliJ IDEA에서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10가지 1. Project(프로젝트) 도구 창(또는 다른 활성 도구 창)의 크기 조정 Project(프로젝트) 도구 창은 IntelliJ IDEA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창 중 하나입니다. 이 창의 너비를 늘리거나 줄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길 수 있습니다. 마우스를 사용하는 대신 Ctrl+Shift+오른쪽 방향키(Windows 또는 Linux) 또는 ⇧⌘오른쪽 방향키(macOS)를 눌러 도구 창의 너비를 늘리고 Ctrl+Shift+왼쪽 방향키 또는 ⇧⌘왼쪽 방향키를 눌러 너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IntelliJ IDEA 2021.2 이전 버전의 경우). Run(실행) 또는 Problems(문제)와 같은 다른 도구 창의 경우 Ctrl+Shift+위쪽 방향키(Windows 또는 Linux) 또는 ⇧⌘위쪽 방향키(.. 2024.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