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6 문자열 다루기 단어는 인간이 커뮤니케이션 함에 있어 커다란 하나의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웹은 사람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텍스트 기반의 매체이므로, 웹에 표시되는 단어를 제어하는 것이 유용하다. HTML은 텍스트에 구조와 의미를 부여하고, CSS는 텍스트의 스타일을 정밀하게 지정할 수 있게 해주며, JavaScript에는 문자열 조작, 사용자 지정 환영 메시지 및 프롬프트 생성, 필요할 때 올바른 텍스트 레이블 표시, 원하는 순서로 용어 정렬 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문자열 선언하기문자열은 언뜻 보기에는 숫자와 비슷하게 다루어지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브라우저 개발자 콘솔 (en-US)에 몇 가지 기본 행을 입력하여 익.. 2024. 5. 3. Number Number 는 37이나 -9.25와 같은 숫자를 표현하고 다룰 때 사용하는 원시 래퍼 객체다.Number 생성자는 숫자를 다루기 위해 상수와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다른 타입의 값은 Number() 함수를 사용하여 숫자로 바꿀 수 있다.JavaScript Number 타입은 Java 혹은 C#의 double 타입처럼 IEEE 754 64비트 바이너리 배정 밀도 값이다. 즉, 분수 값을 나타낼 수 있지만 저장할 수 있는 값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다. Number는 소수점 이하 17자리 정도만 유지하며 산술은 반올림의 대상이 된다. Number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값은 1.8E308 이다. 그보다 더 큰 값은 특별한 Number 상수인 Infinity로 대체된다.JavaScript 코드에서 37과 같.. 2024. 5. 2. state 리액트에서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props는 컴포넌트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부모 컴포넌트가 설정하는 값이며, 컴포넌트 자신은 해당 props를 읽기 전용으로만 사요할 수 있다. props를 바꾸려면 부모 컴포넌트에서 바꾸어야 한다. 예를 들어 App 컴포넌트에서 MyComponent 를 사용할 때 props를 바꿔야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반면 MyComponent에서는 전달받은 name 값을 직접 바꿀 수 없다. 리액트에는 두가지 종류의 state가 있다. 하나는 클래스형 컴포넌트가 지니고 있는 state이고, 다른 하나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useState라는 함수를 통해 사용하는 state이다.클래스형 컴포넌트의 stateCounter.js 파일을 src 디렉터.. 2024. 4. 29. props props는 properties를 줄인 표현으로 컴포넌트 속성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요소이다. props 값은 해당 컴포넌트를 불러와 사용하는 부모 컴포넌트(현 상황에서는 App 컴포넌트가 부모 컴포넌트이다.)에서 설정할 수 있다.JSX 내부에서 props 렌더링우선 MyComponent 컴포넌트를 수정하여 해당 컴포넌트에서 name이라는 props를 렌더링하도록 설정하자. props 값은 컴포넌트 함수의 파라미터로 받아 와서 사용할 수 있다. props를 렌더링할 때 JSX 내부에서 {}로 감싸주면 된다.import React from 'react';const MyComponent = props => { return 안녕 나는 {props.name}이야!!!;};export default MyCompo.. 2024. 4. 25. 모듈 내보내기 및 불러오기 모듈 내보내기 (export)import React from 'react';const MyComponent = () => { return 헬로 컴포넌트;};export default MyComponent;이 코드는 다른 파일에서 이 파일을 import할 때, 위에서 선언한 MyComponent 클래스를 불러오도록 설정한다.모듈 불러오기 (import)이번에는 App 컴포넌트에서 MyComponent 컴포넌트를 불러와서 사용해보자. 기존에 App 컴포넌트에 있던 코드를 모두 지우고 다음과 같이 작성해보자.import React from 'react';import MyComponent from './MyComponent';const App () => { return ;};export default App; .. 2024. 4. 25. NaN (Not-A-Number) 전역 NaN 속성은 Not-A-Number(숫자가 아님)를 나타낸다.function sanitise(x) { if (isNaN(x)) { return NaN; } return x;}console.log(sanitise('1'));// Expected output: "1"console.log(sanitise('NotANumber'));// Expected output: NaN설명NaN은 전역 객체의 속성이다. 즉 전역 범위의 변수다.최신 브라우저에서 NaN은 설정 불가, 쓰기 불가 속성이다.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덮어쓰는 건 피하는 게 좋다.NaN을 반환하는 연산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다.숫자로 변환 실패 (예시: parseInt("blabla"), Number(undefined)와 같은 명.. 2024. 4. 25.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